#include <stdio.h>

int main ()
{
  printf("%d\n",10); // % ☜ , ☜ 뒤에서 가져오라는 뜻 d ☜ 10진수로 표시(10) x ☜ 16진수로 표시(A) 
  printf("3\n");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o ☜ 8진수로 표시(12) 2진수는 표시 안됨
  return 0;
}


{
  printf("123456789\n");
  printf("[%8d]\n",1234);
  printf("123456789\n");
  return 0;
}

%8d ☜ %와 d사이에 숫자를 넣으면 위의 결과처럼 출력값이 짧으면 그만큼 부족한 부분을 앞에 공백을 넣어서 표시해준다.

int main ()
{
  printf("123456789\n");
  printf("[%08d]\n",1234);
  printf("123456789\n");
  return 0;
}

%08d ☜ %와 d사이에 0+숫자를 넣으면 위의 결과처럼 출력값이 짧으면 그만큼 부족한 부분을 앞에 0을 넣어서 표시해준다.


int main ()
{
  printf("123456789\n");
  printf("[%-8d]\n",1234);
  printf("123456789\n");
  return 0;
}

%-8d ☜ %와 d사이에 -숫자를 넣으면 위의 결과처럼 출력값이 짧으면 그만큼 부족한 부분을 뒤에 공백을 넣어서 표시해준다.

int main ()
{
  printf("123456789\n");
  printf("[%d],[%X]\n",10,10);
  printf("123456789\n");
  return 0;
}

%d, %X ☜ 이처럼 콤마(,)를 이용해서 작성하면 %d는 10진수값 10을 %X는 16진수 A를 표시해준다.

#include <stdio.h>

int main ()
{
  char cNum1;           // signed 혹은 char만 쓸경우 음수 양수 모두 사용가능 
  unsigned char cNum2;  // 양수만 저장 가능 
  
  cNum1 = 128;      
  cNum2 = 128;      

  printf("%d\n", cNum1);  // 출력값 -128
  printf("%d\n", cNum2);  // 출력값 128
  return 0;
}


위의 결과값을 보면 char문 앞에 
SIGNED쓰거나 안쓸경우에는 음수,양수 모두 저장 가능하지만  UNSIGNED를 쓸경우 양수만 저장 가능하다.

#include <stdio.h>

int main()
{

  int length;
  int area;

  length = 3;            // length에 3을 넣어라
  area = length*length;  // 곱셈연산 : length를 곱하고 area에 넣어라
  printf("%d\n", area);  // area값을 출력 결과값 = 9
  return 0;
}

#include <stdio.h>
#define pi 3.1416 // 상수 3.1416을 pi로 정의

int main ()
{

  int radius;
  float circ;

  radius=5;
  printf("The radius of circle is %d m\n", radius);
  circ=(radius+radius)*pi;  /* radius값을 더하고 pi값을 곱하라
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pi값은 define문으로 3.1416 지정됨 
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즉 5+5*3.1416 = circ */

  printf("The circumference of circle is %7.2f m.\n", circ);
  /* %7.2f에서 f는 변수 circ를 실수로 출력하르는 의미이고 
   * 7.2는 실수를 전체 7자리로 표시하고 소수부분은 2자리로 표시 */

  return 0;
}
 
#difine 문은 특정상수에 이름을 붙여 사용할 수 있는 선행처리 지시자
(미리 값을 정해주어 나중에 수정시 편리하다는 이점을 갖는다.)



ANSI C : 국제표준국에서 정한 표준C

set : 환경변수 보는 명령어 (리눅스, 도스 모두 사용가능)
(C:\Program Files\Microsoft Visual Studio\VC98\Include ☜ 윈도우에서 stdio.h 파일이 들어있는 위치)
($ /sur/Include ☜ 리눅스에서 stdio.h 파일이 들어있는 위치)

#include
<stdio.h> ☜ <stdio.h>를 포함한다는 의미 즉 #include 문은 그 뒤의 파일을 포함한다.
#include "stdio.h" ☜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stdio.h 파일을 불러온다 ( < > ☜ 환경변수의 위치에서 불러옴)

main() 함수 ☜ C의 엔트릭포인트 (항상 main함수로 부터 시작하며 반드시 있어야한다.)

라이브러리 ☜ 함수를 모아 놓은곳, printf는 표준 라이브러리에 속한다.

개행 ☜ Line feed + Carrage return (Enter) C프로그램에선 \n

char ☜ 1byte, 문자형

        리눅스와 윈도우 공유 폴더 만들기
        /mnt/hgfs/ProjectC << 리눅스에서 공유된 폴더의 경로


        리눅스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활용법
        ll /h + Tab 키를 누르면 자동화 기능으로 인하여 ll /home 으로 바로 경로가 설정된다.


        프로그램 작성시 기본 틀이다. 가운데 빨간 네모칸에 프로그램을 작성한다.
        // << 주석을 달고 싶을때 사용하면 된다.


vi 편집모드에서 편집중 강제 종료했을 경우 위와 같이 스왑 파일이 남아있는다.

gcc -o 로 컴파일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실행 파일을 만든다.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