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작동 우선회로
☞ 입력의 차단방법을 말하는 것이며, 입력 A가 작동시에는 입력 B를 작동시켜도 릴레이가 계속 작동하는 회로이다.
( A : a접점 B : b접점 ⓧ : 릴레이 코일 X : 릴레이 a접점 )
1) 입력 A를 주었을 때 (푸시버튼 A를 누른상태를 말한다.)
☞ P → A → ⓧ → N 으로 회로가 이루어져 릴레이 코일 ⓧ는 여자가되어, a접점 X가 닫힌다.
릴레이 a접점의 X가 닫히면 P → B → X → ⓧ → N의 회로가 이루어진다.(자기유지회로)
2) 입력 A를 제거 했을 때 (푸시버튼 A를 땐 상태를 말한다.)
☞ 전항의 자기 유지회로가 이루어져 작동을 계속 유지한다.
3) 입력 B를 주었을 때 (푸시버튼 B를 누른상태를 말한다.)
☞ 입력 B는 b접점이기 때문에 누르면 열린다. 따라서 자기 유지회로의 입력을 차단하여 릴레이 코일 ⓧ는 소 자하고 모든 작동이 원상태로 돌아온다.
4) 입력 A와 B를 주었을 때 (푸시버튼 A, B 모두 눌렀을 때)
☞ 입력 A와 B를모두 누르면 P → A → ⓧ → N의 회로가 이루어져 릴레이 ⓧ의 작동은 계속되게 된다.
2. 복귀 우선회로
☞ 입력을 차단하는 방법의 한가지이며, 입력 A가주어져도 (a접점 입력이 닫혀도) 입력 B가 중지면 차단되는 (b접점 입력이 열리면 릴레이 작동이 정지되는) 회로이다.
☞ P → B → A → ⓧ → N 으로 회로가 이루어져 릴레이 코일 ⓧ는 여자가 되어, 릴레이 a접점 X도 닫히어 입 력 A를 제거해도 자기유지 시킨다.
☞ P → A → ⓧ → N 으로 회로가 이루어져 릴레이 코일 ⓧ는 여자가되어, a접점 X가 닫힌다.
릴레이 a접점의 X가 닫히면 P → B → X → ⓧ → N의 회로가 이루어진다.(자기유지회로)
2) 입력 A를 제거 했을 때 (푸시버튼 A를 땐 상태를 말한다.)
☞ 전항의 자기 유지회로가 이루어져 작동을 계속 유지한다.
3) 입력 B를 주었을 때 (푸시버튼 B를 누른상태를 말한다.)
☞ 입력 B는 b접점이기 때문에 누르면 열린다. 따라서 자기 유지회로의 입력을 차단하여 릴레이 코일 ⓧ는 소 자하고 모든 작동이 원상태로 돌아온다.
4) 입력 A와 B를 주었을 때 (푸시버튼 A, B 모두 눌렀을 때)
☞ 입력 A와 B를모두 누르면 P → A → ⓧ → N의 회로가 이루어져 릴레이 ⓧ의 작동은 계속되게 된다.
2. 복귀 우선회로
☞ 입력을 차단하는 방법의 한가지이며, 입력 A가주어져도 (a접점 입력이 닫혀도) 입력 B가 중지면 차단되는 (b접점 입력이 열리면 릴레이 작동이 정지되는) 회로이다.
( A : a접점 B : b접점 ⓧ : 릴레이 코일 X : 릴레이 a접점 )
1) 입력 A를 주었을 때 (푸시버튼 A를 누른상태를 말한다.)☞ P → B → A → ⓧ → N 으로 회로가 이루어져 릴레이 코일 ⓧ는 여자가 되어, 릴레이 a접점 X도 닫히어 입 력 A를 제거해도 자기유지 시킨다.
2) 입력 B를 주었을 때 (푸시버튼 B를 누른상태를 말한다.)
☞ 회로가 차단되어 릴레이 코일 ⓧ가 소자되고, 릴레이 a접점 X도 떨어져 원상태로 돌아온다.
☞ 회로가 차단되어 릴레이 코일 ⓧ가 소자되고, 릴레이 a접점 X도 떨어져 원상태로 돌아온다.
3) 입력 A와 B를 동시에 주었을 때 (푸시버튼 A, B 동시에 모두 눌렀을 때)
☞ 앞의 경우와 같이 회로가 차단되어(입력 B는 b접점이기 때문) 릴레이가 작동하지 않는다.
3. 2중 코일 회로
☞ 큰 전류가 흘러서 릴레이의 접점을 작동시키는 작동 코일과 작동후 작은 전류로 작동상태를 유지시키는 유 지코일을 가지고 있으며, 각개의 작동상태를 이용하여 자기 유지시키는 회로이다.
☞ P → A → xo → N으로 회로가 이루어져 작동코일이 작동하여 릴레이의 a접점 X를 닫는다.
릴레이의 a접점 X가 닫히면 P → B → N → xx → N으로 되어 유지코일 xx도 작동한다.(자기유지)
2) 입력 A를 차단시키면 (입력 A를 땐 경우)
☞ 작동코일 xo는 소자되어 작동이 정지디나, 유지코일 xx는 작동을 계속한다.(자기유지)
3) 입력 B를 주었을 때 (입력 B를 누를 경우)
☞ 유지회로도 차단되고 모든 작동이 원상태로 돌아온다.
4. a접점 복귀회로
☞ a접점을 이용하여 복귀 시키는 회로이며, 제어 전원의 단락을 막기 위하여 반드시 직렬 저항을 넣어야 한다.(직렬저항이 없으면 큰 사고가 야기되니 주의할 것.)
☞ 입력 A를 누르면 P → A → ⓧ → RS → N으로 회로가 형성되어 릴레이 ⓧ가 여자된다.
릴레이 ⓧ가 여자되면 릴레이의 a접점 X가 닫히어 자기 유지시킨ㄷ.
2) 입력 A를 차단시키면
☞ 자기 유지회로 P → X → ⓧ → RS → N으로 회로가 이루어져 계속 작동하게 된다.
3) 입력 B를 주었을 때
☞ 모든 전기는 저항이 적은 쪽으로 흐른다. 따라서 P → X → B → RS → N으로 전류가 흘러서 릴레이 ⓧ는 작동을 할 수 없게 된다. 따라서 릴레이의 a접점 X가 열려서 릴레이 코일 ⓧ가 소자되고 작동이 정지한다.
5. 쌍안정회로
☞ 기계적 접점인 키이프(한 동작이 완료되면, 그 상태를 계속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것)를 사용한 릴레이로서 작동 코일과 복귀 코일의 2개의 코일이 있으며, 접점은 기계적으로 유지되고, 단지 점점을 한 방향에서 다 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일을 한다.(전기와 관계없이 자기유지가 되는 것)
(A:작동용 입력 B:복귀용 입력 X:키이프 릴레이 ⓞ:작동코일 ⓡ:복귀코일 a:기계적 a접점 b:기계적 b접점)
1) 입력 A를 주었을 때
☞ P → A → b → ⓞ → N으로 되어 작동코일 ⓞ가 여자되고 기계적 접점 a가 닫히며, 그 상태를 계속 유 지한다.
a접점이 닫히면 b접점은 열리므로 작동코일은 소자되고 회로의 전원이 차단된다.
2) 입력 B를 주었을 때
☞ 기계적 접점 a가 작동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P → B → a → ⓡ → N으로 회로가 연결되어 복 귀코일 ⓡ이 여자되며, 복귀코일 ⓡ이 여자하면 기계적 접점 b는 닫히고 a는 열린다. 따라서 복귀코일의 작동이 정지된다.
☞ 앞의 경우와 같이 회로가 차단되어(입력 B는 b접점이기 때문) 릴레이가 작동하지 않는다.
3. 2중 코일 회로
☞ 큰 전류가 흘러서 릴레이의 접점을 작동시키는 작동 코일과 작동후 작은 전류로 작동상태를 유지시키는 유 지코일을 가지고 있으며, 각개의 작동상태를 이용하여 자기 유지시키는 회로이다.
( A : a접점 B : b접점 ⓧ(o) : 작동코일 ⓧ(x) : 유지코일 ⓧ : 릴레이 코일 X : 릴레이 a접점 )
1) 입력 A만 주었을 때 (입력 A만 누를 경우)☞ P → A → xo → N으로 회로가 이루어져 작동코일이 작동하여 릴레이의 a접점 X를 닫는다.
릴레이의 a접점 X가 닫히면 P → B → N → xx → N으로 되어 유지코일 xx도 작동한다.(자기유지)
2) 입력 A를 차단시키면 (입력 A를 땐 경우)
☞ 작동코일 xo는 소자되어 작동이 정지디나, 유지코일 xx는 작동을 계속한다.(자기유지)
3) 입력 B를 주었을 때 (입력 B를 누를 경우)
☞ 유지회로도 차단되고 모든 작동이 원상태로 돌아온다.
<※ 작은 전류로 유지시키는 회로이며,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.>
4. a접점 복귀회로
☞ a접점을 이용하여 복귀 시키는 회로이며, 제어 전원의 단락을 막기 위하여 반드시 직렬 저항을 넣어야 한다.(직렬저항이 없으면 큰 사고가 야기되니 주의할 것.)
(A:운전용 입력 B:정지용 입력 X:릴레이 a접점 RS:직렬저항 ⓧ:릴레이 코일)
1) 입력 A를 주었을 때☞ 입력 A를 누르면 P → A → ⓧ → RS → N으로 회로가 형성되어 릴레이 ⓧ가 여자된다.
릴레이 ⓧ가 여자되면 릴레이의 a접점 X가 닫히어 자기 유지시킨ㄷ.
2) 입력 A를 차단시키면
☞ 자기 유지회로 P → X → ⓧ → RS → N으로 회로가 이루어져 계속 작동하게 된다.
3) 입력 B를 주었을 때
☞ 모든 전기는 저항이 적은 쪽으로 흐른다. 따라서 P → X → B → RS → N으로 전류가 흘러서 릴레이 ⓧ는 작동을 할 수 없게 된다. 따라서 릴레이의 a접점 X가 열려서 릴레이 코일 ⓧ가 소자되고 작동이 정지한다.
5. 쌍안정회로
☞ 기계적 접점인 키이프(한 동작이 완료되면, 그 상태를 계속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것)를 사용한 릴레이로서 작동 코일과 복귀 코일의 2개의 코일이 있으며, 접점은 기계적으로 유지되고, 단지 점점을 한 방향에서 다 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일을 한다.(전기와 관계없이 자기유지가 되는 것)
1) 입력 A를 주었을 때
☞ P → A → b → ⓞ → N으로 되어 작동코일 ⓞ가 여자되고 기계적 접점 a가 닫히며, 그 상태를 계속 유 지한다.
a접점이 닫히면 b접점은 열리므로 작동코일은 소자되고 회로의 전원이 차단된다.
2) 입력 B를 주었을 때
☞ 기계적 접점 a가 작동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P → B → a → ⓡ → N으로 회로가 연결되어 복 귀코일 ⓡ이 여자되며, 복귀코일 ⓡ이 여자하면 기계적 접점 b는 닫히고 a는 열린다. 따라서 복귀코일의 작동이 정지된다.
<※ 전원을 줄때마다 상대편 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접점이 이동되고 작동 즉시 전원이 차단된다.>
'PLC > 시퀀스 제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플립플롭 회로(원스위치 On/Off) (0) | 2013.01.02 |
---|---|
유접점 기본회로(타이머 응용회로) (0) | 2012.03.21 |
전기용 기호 & 접속도 (0) | 2012.03.19 |
접점의 종류와 기능 (0) | 2012.03.13 |